라벨이 소득주도성장인 게시물 표시

한국창업정책연구원 부원장 이순철 “소득주도성장보다 포용 성장이 대안이다”

이미지
                                  한국창업정책연구원 이순철 부원장 정부는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과정을 통해 정의로운 결과를 만든다’라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반드시 실천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 약속을 정부가 과연 지킬 수 있을 것인가? 한국창업정책연구원 은 소득주도성장 보다 포용 성장 이 대안이라고 1일 주장했다. 그러나 우리는 우선 평등한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도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 많다. OECD가 발행한 ‘기업가정신 2017’ 자료를 보면, 근로자 250명 이상인 한국 대기업의 고용 비중은 전체의 12.8%이다. 이들이 국가 경제 총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에 이른다. 한국과 비중이 56%로 같은 미국의 고용 비중은 58.7%로 한국의 4.5배이다. 총부가가치비중이 50%로 한국보다 낮은 일본의 경우도 고용 비중은 47.2%로 한국보다 3.7배가 높다. 그러나 이들 중에 최근 5년간 고용을 가장 많이 늘린 곳은 현대차 그룹의 6개 상장사다. 그렇지만 이 6개 기업이 늘린 일자리를 모두 더해도 1만 명에도 못 미친다. 그런데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들의 총부가가치 대비 노동자에 대한 보상비중이 30%가 무너져 28%로 추락했고, 중소기업 과의 임금격차는 더욱 커져서 중소기업 노동자의 임금은 대기업의 41.3%에 머물고 있다(핀란드는 약70.9%, 스웨덴은 약69.4%). 이처럼 한국의 재벌대기업들은 해외 기업과 비교해 유달리 고용비중이 낮고 독점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런 배타적인 재벌중심의 구조가 경제생태계를 돌이킬 수 없는 사막화로 내몰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코스닥 시장의 변화를 보면 그 결과가 너무나 참혹하다. 2007년 코스닥에 상장된 재벌계열사는 214개사이다. 이들은 2007년에 약 539조 원의 매출을 시작으로 2016년에는 242개사로 늘면서 이들이 이룬 매출 총규모는 1061조 원에 달한다. 그러나 독립 중소기업들은 2007년 883개사 이던 것이 2016년 747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