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BS인 게시물 표시

[이베스트투자증권] SBS콘텐츠허브 편입은 콘텐츠 자회사 평가 신호탄 ·목표가 3만원

이미지
SBS미디어홀딩스 보유 SBS콘텐츠허브 주식 전량을 SBS에 넘긴 딜 SBS(코스피 034120)는 지상파방송 업종에서 국내 3대 지상파 방송국에 속한다. 방송법에 근거한 지상파TV 라디오방송 광고사업 등을 펼쳐오면서 우수한 지상파콘텐츠를 해외와 국내 케이블PP와 IPTV 등에 판매해 왔다. 지상파TV방송 사업자 가운데 민영방송사로서 유일하게 전국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2001년 국내 최초로 디지털 본방송을 실시했으며 2013년에는 지상파 세계 최초 3D광고 정규프로그램 방송을 개시했고 2017년에는 지상파를 통해 세계 최초 UHD TV방송에 나섰다. AGB닐슨 기준 2018년 3분기 동사의 시청 점유율은 지상파3사 중 2위를 차지한 바 있다. 광고수입이 핵심 수입원이다. 종합편성채널과 케이블TV와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2030세대의 콘텐츠소비의 상당부분은 모바일로 옮겨감에 따라 TV시청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업황의 영향으로 매출신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적자전환이란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경쟁력 저하에 따른 지상파TV 광고수주 부진에도 콘텐츠 판권수익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증가했다. 매출 신장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에도 2018년 과중한 월드컵 중계권료 부담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적자로 돌아섰다. 아울러 종편 tvN 등 타 방송매체와의 경쟁으로 광고수주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제작비감축 등으로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BS의 사업환경은 ▷광고시장이 신규미디어로 이전돼 매체간 대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경제의 저성장 체제 전환에 따른 매출 시청률 등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방송광고는 ▷경기에 매우 민감하고 직접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내수업종에 의한 영향이 큰 편이고▷일반적으로 성수기는 3~6월과 9~10월 비수기는 1~2월과 7~8월이다. 주요제품은 ▷지상파TV광고(41.5%) ▷프로그램판매 등 기타(53.3%) ▷FM-RADIO 광고 (3.8%) 등이다

[대신증권] SBS(034120) 먼 동이 트는 이른 아침 - 김희재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31,000원 유지

이미지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31,000원 유지  - 12M FWD EPS 1,732원에 PER 19배(11~17년 하단 평균) 적용. RIM 적정주가 34천원 방통위 중간광고 도입 추진 발표  - 11/9, 방통위, “방송광고 제도 개선에 대한 정책방향” 발표.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추진 - 정책방향: 최근 광고시장의 중심축이 인터넷과 모바일 등으로 이동하고 컨텐츠 제작환경 등이 급변하여 방송광고 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18.8월 방송광고 균형발전위원회가 방통위에 제출한 정책건의(안)등을 반영. 아래는 주요 내용 1) 한류방송 활용한 수출 촉진 등 위해 가상/간접광고 허용시간 등 규제 개선 방안 검토 2) 동일서비스 동일규제 원칙. 매체간 형평성 제고 위해 지상파에도 중간광고 도입 추진  - 대부분의 해외국가는 상업광고 금지된 공영방송 제외하고는 지상파에도 중간광고 허용 - 시청권 침해 최소화, 시청자 선택권 강화 위해 중간광고 시작 알리는 고지자막 크기 규정 등의 의무 부과 예정 3) 방송법에 협찬의 정의와 허용/금지범위, 고지의무 등 신설. 협찬이 건전한 제작재원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협찬시장의 투명성 제고 이르면 191Q 시행 가능. 경쟁력 있는 컨텐츠 제작시 광고 매출 10% 증가 가능  -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관련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18.11월중 입법예고할 예정. 이르면 191Q 중 시행 가능. ‘73년 오일쇼크 계기로 임시로 중단된 이후 46년만에 부활 -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은 2013년부터 방통위의 업무 추진계획에 항상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추진 중. ‘13년 “창조경제시대의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에서부터 시작, ‘17년 방통위 업무계획과 ‘18년 방통위 업무계획에도 포함 - 지상파 중간광고는 방송/광고시장 활성화라는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채널과 종편 보호 위해 도입되지 않고 있었지만, 이제는 후발사업자 보호라는 명분 사라짐. 특히, tvN의 가파른 성장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