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황유식 애널리스트인 게시물 표시

[NH투자증권] Analyst 황유식 (화학/정유) 롯데케미칼...BUY(유지), 목표주가: 370,000원(하향)

이미지
Analyst   황유식  (화학/정유) / ys.hwang@nhqv.com 롯데케미칼   (011170.KS)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370,000원(하향) [롯데케미칼] (요약) 미국 프로젝트의 실적 수확기 정기보수와 고가 원재료 사용, 역내의 수요 위축으로 4분기 실적은 급감하겠지만 일시적 요인. 1분기 실적은 반대 흐름 가능하며, 미국 프로젝트 완공 후 정상 가동 예정으로 2019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증가할 전망 ▶ 4분기 영업이익 감소하겠지만 일시적 요인 4분기 및 연간 실적 추정치 하향으로 목표주가를 43만원에서 37만원으로 14% 하향함. 목표주가는 2019년 예상실적 기준 지난 4년 평균 PER 7배, PBR 0.9배에 해당하는 수준. 그러나 투자의견은 ① 미국 프로젝트 완공을 앞두고 있으며, ② 잉여 현금을 바탕으로 M&A등 추가 프로젝트가 가능하고, ③ 여수와 LC Titan 설비 정상 가동으로 분기 실적 증가가 예상되어 Buy를 유지함 4분기 영업이익 1,579억원(-78% y-y, -69% q-q)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 여수공장 정기보수와 12월 발생한 설비 트러블, LC Titan 증설 설비 정기보수를 조기 진행하여 전체 기회손실 약 1,200억원으로 추산. 또한 유가 급락으로 고가 원재료 사용 손실이 있었고, 격화된 미?중 무역분쟁으로 화학제품 수요가 위축되며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판단 ▶ 미국 프로젝트 완공 등으로 연간 영업이익 증가 전망 1분기에는 일회성 손실이 소멸되고, 낮아진 가격 원재료 사용으로 영업이익 4,577억원(-31% y-y, +190% q-q)으로 증가할 전망. 아직 아시아 역내 석유화학 제품 구매심리는 냉랭한 상황이지만 추가적인 악화보다는 무역분쟁이 완화될 시 시황의 개선폭이 더욱 클 것으로 전망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유가 변동성 확대, 수요 위축으로 2019년 영업환경이 우호적이지는 않음. 그러나 미국 프로젝트와 일회성 비용 소멸로 연간

[NH/황유식] SKC - 국내는 좁다. 해외로 간다..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55,000원(유지)

이미지
Analyst   황유식  (화학/정유) 02-768-7391 / ys.hwang@nhqv.com SKC   (011790.KS)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55,000원(유지) [SKC] 국내는 좁다. 해외로 간다 중국 내 PO 사업 JV MOU 체결. 높은 생산 기술력으로 해외 생산 거점 확대 전략을 추진, 화학사업 성장성이 가시화되었음. 또한 PO를 이용하여 고부가 PG와 Polyol를 현지 생산/판매함으로써 수익성을 높일 전망 ▶ 화학 사업 선진국형 성장 전략 중국 산둥성 쯔보시에 친환경 PO(Propylene Oxide) 건설 하기 위해 MOU (양해각서) 체결. 동시에 현지 생산된 PO를 활용, Polyol과 PG(Propylene Glycol) 공장을 자체 건설하여 고부가 제품의 현지 생산을 진행할 전망. 이는 국내를 벗어나 수요 시장에서 원재료 공장을 짓고, 고부가 제품을 동시 생산함으로써 수익을 높이는 선진국형 화학사업 확대 전략으로 판단됨 이번 PO 30만톤 건설 계약은 SKC와 독일 에보닉(EVONIK), 티센크룹인더스트리얼솔루션스(tklS), 중국 QXTD(ZIBO Qixiang Tengda Chemical) 등 4자간 계약으로 2021년 상업생산 목표. 동사는 독자적인 생산 방식이자, 고도의 생산기술이 필요한 HPPO(Hydrogen Peroxide PO)의 기술과 설계, 운영 노하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분을 확보할 전망 글로벌 최고의 HPPO 생산력을 기반으로 중국 이외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합작사업을 논의 중. Polyol과 PG는 소량 다품종 제품으로 고객 맞춤형 생산이 필요하며, 고부가 제품으로 분류됨. 고도의 생산 기술이 필요한 원료(PO)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고부가 제품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높은 투자 수익이 가능하며, 화학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전망 ▶ 안정적인 실적 유지는 고부가 전략의 결과 4분기 영업이익 523억원(+15.0% y-y, -3

[NH투자증권]- 황유식 애널리스트 SK이노베이션 (096770.KS)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265,000원(유지)

이미지
Analyst   황유식  (화학/정유)  /  ys.hwang@nhqv.com SK이노베이션   (096770.KS)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265,000원(유지) [SK이노베이션]실적의 키는 P-X(para xylene) 강세 재고관련이익과 P-X 가격 상승으로 3분기 양호한 영업이익 기록. 최근 유가 하락 중이지만 수요 촉진과 OSP 하락 등 사업적으로는 긍정적 효과 예상. 중국 증설 지연으로 P-X 가격 강세는 장기화될 전망 ▶ 3분기 영업이익은 재고관련이익과 P-X 강세 효과 반영 3분기 영업이익 8,358억원(-13% y-y, -1.9% q-q), 세전이익 6,841억원(-30% y-y, -8% q-q)으로 예상치 상회. 재고관련이익과 P-X 가격 강세로 양호한 영업이익 기록 판단 정유부문 영업이익의 경우 직전분기 5,334억원에서 4,084억원으로 감소. 재고관련이익은 직전 분기에는 약 2,300억원 반영되었지만 3분기에는 1,600억원으로 약 700억원 감소했기 때문. 또한 분기 평균 OSP(원유공급단가) 상승으로 원유 구매 비용이 증가한 영향 있음 석유화학부문 P-X의 경우 제한된 공급증가와 폴리에스터 수요 강세로 7~ 8월 가격 급등하여 큰 폭으로 영업이익 증가. 중국에서 계획된 다수의 P-X 프로젝트는 2020년에나 정상 가동 가능할 것으로 보여 타이트한 P-X 공급은 2019년에도 지속될 전망 ▶ 유가 하락으로 석유제품 수요 촉진, OSP 하락 가능 4분기 영업이익 5,591억원(-34% y-y, -33% q-q) 추정. 유가 하락으로 인한 재고관련손익 감소가 주된 요인. 그러나 유가 하락으로 ① 제품 수요가 촉진될 수 있으며, ② OSP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판단. P-X의 경우 스프레드 개선 효과는 4분기에 더 크게 반영될 전망 2020년 IMO(국제해사기구) 황함량 규제 시행 전 내년 하반기부터 middle distillates 제품 재고 수요가 증가할

[NH투자증권][롯데케미칼]바닥이 보인다.. 황유식 애널리스트 ▶ 4분기 현재 실적 최저점을 지나고 있어요

이미지
Analyst   황유식  (화학/정유)  / ys.hwang@nhqv.com 롯데케미칼   (011170.KS)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430,000원(하향) [롯데케미칼]바닥이 보인다 하반기 유가 상승, 수요 경색으로 분기 실적 둔화됨. 다만 유가는 하락 중이며, 내년 미국 ECC/EG 가동으로 영업이익 회복할 전망 ▶ 4분기 현재 실적 최저점을 지나고 있어요 3분기 영업이익과 세전이익은 각각 5,036억원(-34% y-y, -28% q-q), 6,034억원(-28% y-y, -26% q-q) 기록. 실적 감소는 ① 유가 급등에 의한 원재료 가격 상승, ② 미?중 무역분쟁 및 신흥국 수요 둔화, ③ 여수공장 정기보수 기회손실 약 500억원 등의 요인이 반영됐기 때문 3분기 초 대비 분기 말 납사 가격은 톤당 92달러 상승(+14%)했지만 중국 등 신흥국 수요 위축으로 원재료 가격 전가가 어려움. 9월 말 2,000억 달러 규모 중국 제품에 대한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전후로 역내 석유화학 제품 가격은 하락 전환. 9~ 10월 진행된 원가 악화 및 수요 경색은 4분기 실적 감소로 이어져 4분기 영업이익 3,067억원(-57% y-y, -39% q-q) 추정 11월 현재 유가는 고점대비 15% 하락(WTI 가격 기준)하여 원가 부담 해소 중. 중국 내 수요는 매우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다만 정치적 요인에 의한 수요 경색은 초기에 급랭한 이후, 시간이 지나며 완화되는 경향이 있음. 내년 상반기 석유화학 제품의 역내 수요는 부진하겠지만 현재와 같은 경색된 상황은 해소될 것으로 판단 ▶ 컨퍼런스 콜을 통해 확인한 오해와 진실 컨퍼런스 콜을 통해 몇 가지 시장 우려를 해소함. ① 미국 에틸렌 수출 터미널 capa(처리능력) 20만톤으로 내년까지 미국산 에틸렌 수출 증가 불가능. ② 미국 PE 증설은 2018년 peak를 지났음. 향후 4년 PE 증설은 연간 약 100만톤 규모로 연평균 수요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