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핀테크인 게시물 표시

[분석리서치 미래에셋대우 정길원 ] [증권] Fintech·Big Tech의 증권업 진출을 보는 기준

이미지
Fintech·Big Tech의 증권업 진출을 보는 기준점  Fintech·Big Tech 기업들의 증권업 진출 가능성이 보도되고 있다. 아직 이들의 진출 의지와 구체적인 사업 전략이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영향을 예단하기 어렵지만, 예측에 있어서 최소한의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 기준은 금융업의 ‘본질적인 기능(경제적 자원의 배분과 신용의 창조)’과 ‘서비스’는 분리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필연적으로 Book의 위험을 수반하게 되는 반면 후자는 그렇지 않다. 현재의 ‘자본규제 체제’에서는 경쟁의 파급력 제한 최근 언급되고 있는 인수 대상 증권사의 규모나 자본력은 매우 영세하다.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라이선스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큰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자본규제(순자본비율)는 라이선스 비용의 절댓값에 대한 위험액의 수준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자본은 사업의 확장에 큰 장애가 된다. 은행과 달리 고객들이 증권사를 이용하는 목적지향성은 매우 뚜렷하다. 증권사들이 취급하는 투자 상품의 효용은 결국 ‘편의성’이 아닌 ‘높은 수익률’에 좌우된다. 이는 자본력이나 딜 소싱, 운용 능력 등이 경쟁력이기 때문에 대체되기 어렵다. 즉, 자본의 규모가 작으면 사업영역이 매우 제한된다. 이들이 진입하여도 ‘매우 제한적인 서비스 영역’에서 경쟁이 국한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경쟁과 협업의 이중적 성격 플랫폼이 지니는 본질적 속성은 분명 금융업에 위협적이다. 그 속성은 결국 소비자-공급자의 직접적인 ‘가치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전의 유통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었던 제반 중개 비용이 사라지거나 줄어드는 모습을 여러 산업에서 확인하고 있다. 금융업에 대입해 보면 단순화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는 유통과정의 비용이 축소되면서 플랫폼을 매개로 가격 경쟁이 벌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플랫폼이 직접 Book의 위험을 안고 가지 않는 대신

무역협회, 핀테크 스타트업 정부지원·규제완화·B2B모델 필요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생태계가 활성화되려면 기존 금융기관과 스타트업의 협업모델을 정착시키고 정부는 업계 소통과 규제 완화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은 최근 발표한 '싱가포르 핀테크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공 요인과 시사점'에서 ▲싱가포르 정부의 지원 ▲유연한 규제환경 ▲풍부한 자본 ▲잠재력 있는 시장 ▲유능한 인재 등 5가지를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런던, 뉴욕, 홍콩과 더불어 글로벌 핀테크 스타트업 허브로 주목받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80RR, 배쉬(Bash), 블록71(Blk71) 같은 창업 육성단지를 구축하고 세계 최대 핀테크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으로 전 세계 투자자들을 유인하고 있다. 또한 2년 이상 소요되던 핀테크 기술 특허 승인 기간을 6개월까지 단축하는 등 과감한 규제 완화를 통해 혁신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했다. 보고서는 "80RR에 입주한 핀테크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탈(VC), 협회 등은 싱가포르판 카카오톡 '왓츠앱'으로 중앙은행 담당자와 자유롭게 연락한다"면서 "정부가 권위적인 태도를 버리고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업계와 밀접하게 교류하는 대표적인 예"라고 강조했다. 싱가포르는 기존 금융서비스의 높은 침투율과 금융기관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도 때문에 핀테크 스타트업이 금융기관과 경쟁하기보다는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기업 간 거래(B2B) 형태에 주력하고 있다. B2B 모델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비해 문화적 차이에 구애받지 않아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이 용이하다. 공용어인 영어는 글로벌 핀테크 투자자금과 유능한 인재들이 싱가포르로 몰리게 하는 또 다른 유인이다. 실시간 외환표시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엠닥(M-DAQ)은 200명에 가까운 직원들의 국적이 20여 개 국으로 높은 글로벌 수준을 자랑한다.

투자전략 Note [은행, 핀테크] 세대 교체... 핀테크 산업은 전세계적으로 활성화

이미지
2018. 9. 14 (금) 투자전략 Note [은행, 핀테크] 세대 교체 안녕하세요. 한투증권 시황 김대준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핀테크 관련주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전자결재 관련주는 은행주의 시가총액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금융의 발전이 전세계적 현상이라면 한국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시황 l   김대준 daejun.kim@truefriend.com 핀테크 산업은 전세계적으로 활성화 여의도역 1번 출구 앞엔 사학연금회관 건물이 있다. 얼마 전 여기 1층에 있었던 KB국민은행이 문을 닫았다. 간판이 떼어진 자리에 합병 전 국민은행 흔적이 남아있는 걸 보면 꽤 오래된 지점이었던 것 같다. 물론 지점이 사라진 게 놀랍진 않다. 이곳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많은 은행 지점들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한국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전세계적 추세다. 특히 금융의 본산이라 할 수 있는 유럽에서 동일한 모습이 많이 포착된다. 실제로 EU 28개국 은행 지점은 2012년 21.8만개에서 2017년 18.3만개로 줄어든 바 있다. 은행원 수도 같은 기간에 298만명에서 271만명으로 30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최근 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치방크는 추가로 1만명을 감원할 것이란 계획을 발표했다. 오프라인 은행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이유는 시대적 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람들이 더 이상 현금에 의존하지 않는 게 첫 번째 이유고, 온라인 금융이 빠르게 발전한 게 두 번째 이유다. 특히 후자는 핀테크라는 이름 하에 고속 성장하고 있다. 일례로 은행 중심의 금융 플랫폼이 변화를 겪고 있고, 지급 결제나 금융 분석 등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도 생겨나고 있다. 주식시장은 이미 금융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올해 6월 네덜란드에 신규 상장한 애드옌(Adyen)이란 전자결제 회사는 3개월도 안 된 기간에 주가가 3배 가까이 올랐다. 시가총액은 도이치방크와 같은 200억유로에 다다랐다.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