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제롬파월인 게시물 표시

16대 Fed 의장 ‘제롬 파월’ 맞았다… ‘대내외 증시랠리’ 변곡점되나?’

이미지
      지난달 5일, 16대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으로 제롬 파월이 공식 취임했다. 제롬 파월과 캐빈 위시 전현직 Fed 이사, 게리 콘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존 테일러 스탠포드대 교수, 그리고 재닛 옐런 전 Fed 의장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손발을 가장 맞출 수 있는 제롬 파월을 선택해 Fed의 통화정책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본격적인 제롬 파월 시대를 맞아 현재 통화정책 여건을 ‘머큐리(Mercury)’로 표현되는 경제 요인과 ‘마스(Mars)’로 지칭되는 지정학적 위험 등과 같은 경제외적 요인을 살펴보면 두 요인 간의 괴리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미국 경기는 1990년대 후반 이후 20년 만에 ‘골디락스(고성장 속 저물가)’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로 회복세가 견실하다. 트럼프 출범 1년 직후 한 차례 큰 홍역을 치르고 있지만 증시도 여전히 활황세다. 작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사상최고치를 기록한 날이 71회로, 69회에 달했던 1995년 기록을 뛰어넘었다. 올해 들어서는 거래일 기준으로 불과 20일 만에 25000선, 26000선을 잇달아 돌파했다.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다. 머큐리와 마스 요인 간의 괴리가 얼마나 심한지는 달러 가치를 보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머큐리 요인만 따진다면 달러 가치는 분명히 강세가 돼야 한다. 하지만 마스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는 달러 가치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국익 우선주의로 인해 중국 등과 같은 최대 보유국이 달러 비중을 줄이는 과정에서 하락 속도가 빠르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머큐리 요인으로 달러 가치는 분명히 강세가 돼야 하는데 마스 요인으로 약세를 보인다면 교역국으로부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미국 국익만을 생각하는 달러 약세정책으로 확신을 갖는다. 평가절하는 대표적인 근린궁핍화 정책으로 극단적인 보호주의 수단에 해당한다. 미국 이외 교역국이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은 두 가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