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Fed인 게시물 표시

[하나금융투자] 이재만- [화수분전략] Fed's rethinking

이미지
[투자전략팀] 이재만  duke7594@hanafn.com * 파월 연준의장은 지난주 달라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세금 인하와 같은 재정지출 효과가 약해질 수 있고, 해외 수요 둔화 가능성 등을 언급하며 향후 성장 둔화 조짐에 대한 고민 피력   * 그 결과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에 변화 가능성 부각. 실제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3.24%에서 3.06%로 하락하며 매도 압력 진정   * 미국 경기가 지금 좋다는 것에 대한 이견은 없음. 그러나 미국 경기도 외부와 단절된 ‘섬(Island)’과 같은 존재가 될 수는 없음. GDP대비 교역(수출+수입) 비중은 1980년대 17%에서 현재 29%로, 기업 이익 비중은 7%에서 11%로 증가. 기업 이익 중 해외 비중은 같은 기간 동안 13%에서 22%까지 확대   * 2019과 20년 중국과 유로존 경제성장률 추정치가 4분기 이후 빠르게 하향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 변화가 줄 자국 경제에 대한 영향도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시기   * 물론 연준이 금리 인상을 ‘안 하는 것’과 ‘못 하는 것’에는 구분이 필요함. 연준의 첫 번째 기준금리 인상은 주식 매수 시그널이 되지만, 반대로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시기(못하는 것)는 주식 매도 시그널이 되기 때문   * 다만 향후 기준금리 인상의 횟수 하향 조정 가능성이 높아진다면, 신흥국 증시로의 자금 유입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변화 중 하나. 2019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횟수(2018년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정)의 확률 변화를 보면, 1회 인상 확률(비둘기적 컨센서스 기준)이 11월 초 25%에서 현재 35%로 상승한 반면 3회 인상 확률(매파적 컨센서스 기준)은 24%에서 9%로 하락   * 지난 10월 격하게 진행됐던 신흥국 증시에 대한 외국인 매도 공세가 진정되면서 자금의 재유입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시기. 최근 신흥국 주식형 펀드로의 4주 평균 자금 순유입 규모가 24억 달러로

16대 Fed 의장 ‘제롬 파월’ 맞았다… ‘대내외 증시랠리’ 변곡점되나?’

이미지
      지난달 5일, 16대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으로 제롬 파월이 공식 취임했다. 제롬 파월과 캐빈 위시 전현직 Fed 이사, 게리 콘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존 테일러 스탠포드대 교수, 그리고 재닛 옐런 전 Fed 의장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손발을 가장 맞출 수 있는 제롬 파월을 선택해 Fed의 통화정책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본격적인 제롬 파월 시대를 맞아 현재 통화정책 여건을 ‘머큐리(Mercury)’로 표현되는 경제 요인과 ‘마스(Mars)’로 지칭되는 지정학적 위험 등과 같은 경제외적 요인을 살펴보면 두 요인 간의 괴리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미국 경기는 1990년대 후반 이후 20년 만에 ‘골디락스(고성장 속 저물가)’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로 회복세가 견실하다. 트럼프 출범 1년 직후 한 차례 큰 홍역을 치르고 있지만 증시도 여전히 활황세다. 작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사상최고치를 기록한 날이 71회로, 69회에 달했던 1995년 기록을 뛰어넘었다. 올해 들어서는 거래일 기준으로 불과 20일 만에 25000선, 26000선을 잇달아 돌파했다.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다. 머큐리와 마스 요인 간의 괴리가 얼마나 심한지는 달러 가치를 보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머큐리 요인만 따진다면 달러 가치는 분명히 강세가 돼야 한다. 하지만 마스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는 달러 가치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국익 우선주의로 인해 중국 등과 같은 최대 보유국이 달러 비중을 줄이는 과정에서 하락 속도가 빠르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머큐리 요인으로 달러 가치는 분명히 강세가 돼야 하는데 마스 요인으로 약세를 보인다면 교역국으로부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미국 국익만을 생각하는 달러 약세정책으로 확신을 갖는다. 평가절하는 대표적인 근린궁핍화 정책으로 극단적인 보호주의 수단에 해당한다. 미국 이외 교역국이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은 두 가지다. 하나는 달러 약세에 맞대응

[국제금융센터] [주간]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와 무역갈등 동시 부각

이미지
[주간]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와 무역갈등 동시 부각 ㅁ 주요국 주가는 Fed 통화정책 정상화와 미국 보호무역 등 주요 위험요인들이 동시에 부각     되면서 하락. 위험회피 분위기가 지속되면서 안전자산 강세(엔화, 美ㆍ獨 국채 등) ㅁ 미국의 고율관세 부과에 대한 중국의 대응에 주목. 향후 5주간 3대 중앙은행들의 통화     정책회의가 열리지 않는 가운데, 각국 경제지표 및 중앙은행들의 대외 메시지에 주목